서브컨텐츠
학번별 졸업요건: 2024학번
교육과정 기본구조표
학과 | 졸업이수 학점 | 단일전공과정 | 다전공과정 | 부전공과정 | 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전공학점 | 타전공 인정학점 |
전공학점 | 타전공 인정학점 |
|||||||||||
전공 기초 |
전공 필수 |
전공 선택 |
계 | 전공 기초 |
전공 필수 |
전공 선택 |
계 |
전공 필수 |
전공 선택 |
계 | ||||
생체의공학과 | 130 | 24 | 17 | 38 | 79 | - | 6 | 17 | 31 | 54 | - | 3 | 21 | 24 |
* 전공이수는 생체의공학과 교육과정 시행세칙에서 정한 졸업이수요건을 만족해야 함.
* 졸업능력인증제: 본 페이지 하단의 어학점수를 취득하여 졸업예정학기의 정해진 제출 기간 내에 성적증명서를 전자정보대학 행정실로 제출하여야 졸업능력인증을 통과함. (졸업예정학기=보통 8학기 이수시기, 제출 시기에 유효한 성적이어야 함, 제출기간은 학과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매 학기 공고.
* 2008학번 이후 신입생은 전공과목의 영어강좌 3과목 이상 이수를 졸업요건으로 충족해야 하며, 편입학생의 경우 전공과목 영어강좌 1과목 이상을 이수해야 함.
* 2018학년도 이후 신입생(편입생, 순수외국인 제외)은 소프트웨어 기초지식 습득 및 마인드 함양을 위해, SW교양 또는 SW코딩 교과목에서 총 6학점을 이수해야 함. (교육과정 책자의 '소프트웨어(SW) 기초교육 이수안내')
* 다전공의 경우 전공기초의 '공학수학2(구.공학수학)', '기초프로그래밍' 교과목을 반드시 이수해야 함.
* 6학기 이수 중, 공지되는 기간에 신청하여 졸업논문 지도교수를 지정받아야 함.
* 생체의공학과를 단일전공 또는 다전공으로 이수하는 학생은 졸업하는 학기에 졸업논문(생체의공학과)을 필히 수강신청해야 한다. 다만, 졸업논문 지도를 위해서 창의적 종합설계(생체의공학)를 이수하는 것을 권장한다.
* '생체의공실험'교과목은 2019학번(포함) 이전 학생들까지 전공선택으로 구분함.
* '기초전자회로', '창의적종합설계(생체의공학)'교과목은 2024학번(포함)이후 학생들까지 전공선택으로 구분함.
2020~2023학번
교육과정 기본구조표
학과 | 졸업이수 학점 | 단일전공과정 | 다전공과정 | 부전공과정 | 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전공학점 | 타전공 인정학점 |
전공학점 | 타전공 인정학점 |
|||||||||||
전공기초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전공기초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||||
생체의공학과 | 130 | 24 | 23 | 37 | 84 | - | 6 | 23 | 28 | 57 | - | 3 | 21 | 24 |
* 전공이수는 생체의공학과 교육과정 시행세칙에서 정한 졸업이수요건을 만족해야 함.
* 졸업능력인증제: 본 페이지 하단의 어학점수를 취득하여 졸업예정학기의 정해진 제출 기간 내에 성적증명서를 전자정보대학 행정실로 제출하여야 졸업능력인증을 통과함. (졸업예정학기=보통 8학기 이수시기, 제출 시기에 유효한 성적이어야 함, 제출기간은 학과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매 학기 공고.
* 2008학번 이후 신입생은 전공과목의 영어강좌 3과목 이상 이수를 졸업요건으로 충족해야 하며, 편입학생의 경우 전공과목 영어강좌 1과목 이상을 이수해야 함.
* 2018학년도 이후 신입생(편입생, 순수외국인 제외)은 소프트웨어 기초지식 습득 및 마인드 함양을 위해, SW교양 또는 SW코딩 교과목에서 총 6학점을 이수해야 함. (교육과정 책자의 '소프트웨어(SW) 기초교육 이수안내')
* 다전공의 경우 전공기초의 '공학수학2(구.공학수학)', '기초프로그래밍' 교과목을 반드시 이수해야 함.
* 6학기 이수 중, 공지되는 기간에 신청하여 졸업논문 지도교수를 지정받아야 함.
* 졸업논문을 통과하기 위해선 졸업논문을 발표하고자 하는 학기에 '졸업논문(생체의공학)'교과목과 '창의적 종합설계(생체의공학)'을 수강신청한 후, 졸업논문 발표심사를 통과하여 두 교과목을 모두 이수해야 함.(동시 이수 원칙)
* '생체의공실험'교과목은 2019학번(포함) 이전 학생들까지 전공선택으로 구분함.
2016~2019학번
교육과정 기본구조표
졸업 이수 학점 | 단일전공과정 | 다전공과정 | 부전공과정 | 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전공학점 | 타전공 인정학점 |
전공학점 | 타전공 인정학점 |
전공학점 | |||||||||
전공기초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전공기초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|||
130 | 24 | 21 | 39 | 84 | - | 6 | 21 | 30 | 57 | - | 3 | 21 | 24 |
* 전공이수는 생체의공학과 교육과정 시행세칙에서 정한 졸업이수요건을 만족해야 함.
* 졸업능력인증제: 본 페이지 하단의 어학점수를 취득하여 졸업예정학기의 정해진 제출 기간 내에 성적증명서를 전자정보대학 행정실로 제출하여야 졸업능력인증을 통과함. (졸업예정학기=보통 8학기 이수시기, 제출 시기에 유효한 성적이어야 함, 제출기간은 학과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매 학기 공고.
* 2008학번 이후 신입생은 전공과목의 영어강좌 3과목 이상 이수를 졸업요건으로 충족해야 하며, 편입학생의 경우 전공과목 영어강좌 1과목 이상을 이수해야 함.
* 2018학년도 이후 신입생(편입생, 순수외국인 제외)은 소프트웨어 기초지식 습득 및 마인드 함양을 위해, SW교양 또는 SW코딩 교과목에서 총 6학점을 이수해야 함. (교육과정 책자의 '소프트웨어(SW) 기초교육 이수안내')
* 다전공의 경우 전공기초의 '공학수학2(구.공학수학)', '기초프로그래밍' 교과목을 반드시 이수해야 함.
* 6학기 이수 중, 공지되는 기간에 신청하여 졸업논문 지도교수를 지정받아야 함.
* 졸업논문을 통과하기 위해선 졸업논문을 발표하고자 하는 학기에 '졸업논문(생체의공학)'교과목과 '창의적 종합설계(생체의공학)'을 수강신청한 후, 졸업논문 발표심사를 통과하여 두 교과목을 모두 이수해야 함.(동시 이수 원칙)
* '생체의공실험'교과목은 2019학번(포함) 이전 학생들까지 전공선택으로 구분함.
2011~2015학번
교육과정 기본구조표
졸업 이수 학점 | 단일전공과정 | 다전공과정 | 부전공과정 | 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전공학점 | 타전공 인정학점 |
전공학점 | 타전공 인정학점 |
전공학점 | |||||||||
전공기초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전공기초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|||
130 | 24 | 0 | 49 | 73 | - | 24 | 0 | 18 | 42 | - | 0 | 21 | 21 |
* 전공이수는 생체의공학과 교육과정 시행세칙에서 정한 졸업이수요건을 만족해야 함.
* 졸업능력인증제: 본 페이지 하단의 어학점수를 취득하여 졸업예정학기의 정해진 제출 기간 내에 성적증명서를 전자정보대학 행정실로 제출하여야 졸업능력인증을 통과함. (졸업예정학기=보통 8학기 이수시기, 제출 시기에 유효한 성적이어야 함, 제출기간은 학과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매 학기 공고.
* 2008학번 이후 신입생은 전공과목의 영어강좌 3과목 이상 이수를 졸업요건으로 충족해야 하며, 편입학생의 경우 전공과목 영어강좌 1과목 이상을 이수해야 함.
* 2018학년도 이후 신입생(편입생, 순수외국인 제외)은 소프트웨어 기초지식 습득 및 마인드 함양을 위해, SW교양 또는 SW코딩 교과목에서 총 6학점을 이수해야 함. (교육과정 책자의 '소프트웨어(SW) 기초교육 이수안내')
* 6학기 이수 중, 공지되는 기간에 신청하여 졸업논문 지도교수를 지정받아야 함.
* 졸업논문을 통과하기 위해선 졸업논문을 발표하고자 하는 학기에 '졸업논문(생체의공학)'교과목과 '창의적 종합설계(생체의공학)'을 수강신청한 후, 졸업논문 발표심사를 통과하여 두 교과목을 모두 이수해야 함.(동시 이수 원칙)
* '생체의공실험'교과목은 2019학번(포함) 이전 학생들까지 전공선택으로 구분함.
2008~2010학번
교육과정 기본구조표
졸업 이수 학점 | 단일전공과정 | 다전공과정 | 부전공과정 | 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전공학점 | 타전공 인정학점 |
전공학점 | 타전공 인정학점 |
전공학점 | |||||||||
전공기초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전공기초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|||
130 | 24 | 0 | 49 | 73 | - | 24 | 0 | 18 | 42 | - | 0 | 21 | 21 |
* 전공이수는 생체의공학과 교육과정 시행세칙에서 정한 졸업이수요건을 만족해야 함.
* 졸업능력인증제: 본 페이지 하단의 어학점수를 취득하여 졸업예정학기의 정해진 제출 기간 내에 성적증명서를 전자정보대학 행정실로 제출하여야 졸업능력인증을 통과함. (졸업예정학기=보통 8학기 이수시기, 제출 시기에 유효한 성적이어야 함, 제출기간은 학과 홈페이지 공지사항에 매 학기 공고.
* 2008학번 이후 신입생은 전공과목의 영어강좌 3과목 이상 이수를 졸업요건으로 충족해야 하며, 편입학생의 경우 전공과목 영어강좌 1과목 이상을 이수해야 함.
* 6학기 이수 중, 공지되는 기간에 신청하여 졸업논문 지도교수를 지정받아야 함.
* '생체의공실험'교과목은 2019학번(포함) 이전 학생들까지 전공선택으로 구분함.
* 졸업논문을 통과하기 위해선 졸업논문을 발표하고자 하는 학기에 '졸업논문(생체의공학)'교과목을 수강신청한 후, 졸업논문 발표심사를 통과해야함.
2004~2007학번
교육과정 기본구조표
졸업 이수 학점 | 단일전공과정 | 다전공과정 | 부전공과정 | 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전공학점 | 타전공 인정학점 |
전공학점 | 타전공 인정학점 |
전공학점 | |||||||||
전공기초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전공기초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|||
130 | 18 | 0 | 49 | 49 | 12 | 18 | 0 | 49 | 49 | 12 | 0 | 21 | 21 |
2003학번 이전
교육과정 기본구조표
졸업 이수 학점 | 단일전공과정 | 다전공과정 | 부전공과정 | 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전공학점 | 타전공 인정학점 |
전공학점 | 타전공 인정학점 |
전공학점 | |||||||||
전공기초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전공기초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전공필수 | 전공선택 | 계 | |||
130 | 18 | 0 | 49 | 49 | 12 | 18 | 0 | 49 | 49 | 12 | 0 | 21 | 21 |
졸업능력인증제
종류 | 최저 점수 (아래 점수 이상) |
---|---|
Opic(말하기) | IL |
TOEIC Speaking | 5급 |
TOEIC | 630 |
TEPS | 271(구:505) |
G-TELP(Level2) | 54 |
TOEFL(iBT) | 72 |